파슬리란?
파슬리는 지중해가 원산지인 식물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유형은 프랑스 곱슬 잎과 이탈리아 편평 잎입니다. 오랫동안 파슬리는 고혈압, 알레르기 및 염증성 질환과 같은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오늘날에 파슬리는 신선한 요리용 허브 또는 말린 향신료로 널리 사용됩니다. 밝은 녹색을 띠고 부드럽고 쓴 맛이 있어 많은 요리법과 잘 어울립니다.
종종 가장 강력한 질병 퇴치 식물 중 하나로 분류되는 파슬리는 훌륭한 영양가를 제공하고 많은 잠재적인 건강상의 이점을 제공합니다. 아래에서는 이러한 파슬리의 효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풍부한 영양소
파슬리는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많은 영양소를 제공합니다. 다진 신선한 파슬리 1/2컵(30g)에 포함된 영양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칼로리: 11칼로리
탄수화물: 2g
단백질: 1g
지방: 1g 미만
섬유질: 1g
비타민 A: 일일 기준 섭취량(RDI)의 108%
비타민 C: RDI의 53%
비타민 K: RDI의 547%
엽산: RDI의 11%
칼륨: RDI의 4%
파슬리는 많은 비타민, 특히 혈액 응고와 뼈 건강에 필요한 비타민K가 앞서 보신 것처럼 매우 풍부합니다.
파슬리는 또한, 항산화 특성을 가진 중요한 영양소인 비타민 A와 C의 훌륭한 공급원입니다.
그리고, 파슬리는 칼로리가 매우 낮지만, 풍미가 풍부하여 많은 요리법에 훌륭한 저칼로리 재료가 됩니다.
2. 풍부한 항산화제
파슬리에는 건강에 도움이 되는 강력한 항산화제가 많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항산화제는 자유 라디칼이라고 하는 분자로 인한 세포 손상을 방지하는 화합물입니다. 신체는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항산화제와 자유 라디칼의 건강한 균형을 필요로 합니다.
파슬리에 포함된 주요 항산화제로는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비타민C 등이 있습니다.
이 파슬리에는 특히 플라보노이드로 알려진 항산화제가 풍부합니다. 두 가지 주요 플라보노이드에는 미리세틴과 아피게닌이 포함됩니다.
연구에 따르면, 플라보노이드가 풍부한 식단은 결장암, 제2형 당뇨병 및 심장병을 포함한 상태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또한, 베타 카로틴과 루테인은 카로티노이드로 알려진 두 가지 항산화제입니다. 많은 연구에서 카로티노이드 섭취가 많을수록 폐암을 비롯한 특정 질병의 위험이 감소하는 것과 관련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파슬리에 다량 포함된 비타민C는 강력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면역 건강을 지원하고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흥미롭게도 말린 파슬리는 신선한 파슬리보다 항산화제가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한 연구에 따르면 말린 허브는 신선한 허브보다 항산화 성분이 17배 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습니다.
3. 뼈 건강에 도움
뼈는 건강하고 튼튼하게 유지되기 위해 다양한 양의 특정 비타민과 미네랄이 필요합니다.
파슬리는 뼈 건강을 위한 필수 영양소인 비타민K로 가득 차 있습니다. 파슬리 1/2컵(30g)은 비타민K 일일기준섭취량(RDI)의 약 547%를 제공할 만큼 인상적입니다.
비타민 K는 조골세포라고 하는 뼈 형성 세포를 지원하여 더 강한 뼈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 비타민은 또한 뼈에 존재하는 미네랄의 양을 측정하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특정 단백질을 활성화 합니다.
골밀도는 아주 중요합니다. 골밀도가 낮을수록 골절 위험이 증가합니다. 특히 노인의 경우에 그렇습니다.
일부 연구에서는 비타민K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골절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비타민K 섭취가 많을수록 골절 위험이 22% 낮아집니다. 비타민K의 일반적인 식이 섭취는 골밀도를 개선하고 골절 위험을 줄이는 데 필요한 수준보다 낮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슬리와 같은 음식을 섭취하면 뼈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항암물질 포함
파슬리에는 항암 효과가 있을 수 있는 식물 화합물이 들어있습니다. 산화 스트레스(산화 방지제 및 자유 라디칼 수준의 불균형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는 암을 포함한 특정 만성 질환의 발병과 관련이 있습니다.
파슬리는 특히 플라보노이드 항산화제와 비타민C가 풍부하여 신체의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고 특정 암의 위험을 낮출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플라보노이드의 높은 식이 섭취는 결장암 위험을 최대 30%까지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미리세틴(myricetin)과 아피게닌(apigenin)과 같은 파슬리의 특정 플라보노이드 하위 그룹은 시험관 및 동물 연구에서 항암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또한, 비타민C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면 암 위험도 줄일 수 있습니다. 파슬리 1/2컵(30g)은 이 비타민C에 대한 일일기준섭취량(RDI)의 53%를 제공합니다.
한 연구에 따르면, 하루에 비타민C를 100mg 늘리면 전체 암 위험이 7% 감소합니다.
또한 식이 비타민C를 하루 150mg씩 늘리면 전립선암 위험을 최대 21%까지 낮출 수 있었습니다.
5. 눈 보호 영양소 포함
루테인, 베타 카로틴 및 제아잔틴은 눈을 보호하고 건강한 시력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파슬리의 3가지 카로티노이드입니다. 카로티노이드는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식물에서 발견되는 색소입니다.
루테인과 지아잔틴은 전 세계적으로 불치의 안과 질환이자 주요 실명의 원인인 연령 관련 황반변성(AMD)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루테인과 제아잔틴이 풍부한 음식을 먹으면 말기 AMD의 위험을 최대 26%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베타 카로틴은 눈 건강을 지원하는 또 다른 카로티노이드입니다.
이 카로티노이드는 체내에서 비타민 A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베타 카로틴의 전환은 파슬리에 비타민A가 매우 풍부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갓 다진 잎 1/2컵(30g)은 이 비타민A에 대한 일일기준섭취량(RDI)의 108%를 제공합니다. 비타민A는 눈의 가장 바깥쪽 층인 각막과 눈 앞과 눈꺼풀 안쪽을 덮고 있는 얇은 막인 결막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눈 건강에 필수적입니다.
6. 심장 건강 개선에 도움
파슬리는 심장 건강을 개선할 수 있는 영양이 풍부한 허브입니다. 예를 들자면, 파슬리는 비타민B 엽산의 좋은 공급원입니다.
파슬리 약 1/2컵(30g)은 비타민B의 일일기준섭취량(RDI)의 11%를 제공합니다.
식이 엽산을 많이 섭취하면 특정 인구에서 심장병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58,000명 이상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대규모 연구에 따르면, 엽산을 가장 많이 섭취하면 심장병 위험이 38%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대로 엽산을 적게 섭취하면 심장병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1,980명의 남성을 대상으로 한 한 연구에서는, 이 영양소를 가장 적게 섭취한 사람들에서 심장병 위험이 55% 증가하는 것을 관찰했습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엽산이 아미노산 호모시스테인 수치를 낮추어 심장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가정합니다. 일부 연구에서 높은 호모시스테인 수치는 심장 질환의 더 높은 위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호모시스테인은 동맥의 구조와 기능을 변경하여 심장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아미노산과 심장병 사이의 연관성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7. 향균 효과
파슬리는 추출물로 사용될 때 항균 효과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시험관 연구는 파슬리 추출물이 효모, 곰팡이, 그리고 감염을 유발하는 흔한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해 상당한 항균 활성을 보인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파슬리 추출물은 또한 음식에서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시험관 연구는, 파슬리 추출물이 식중독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진 리스테리아와 살모넬라 같은 잠재적으로 해로운 박테리아의 성장을 막았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추출물이 시험관 연구에서 항균 가능성을 보여주지만 이러한 이점은 아직 인간에 대해 연구되지 않았습니다.
자, 이렇게 오늘은 파슬리 효능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도 이 정보가 많은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저는 이만 글을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 정보 > 식품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놀라운 우유 효능 5가지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3.22 |
---|---|
캐모마일 효능 8가지 및 부작용 알아보기 (0) | 2023.03.16 |
메추리알 효능 15가지 자세히 알아보기 (0) | 2023.03.12 |
엽산 효능 5가지 및 부작용 (1) | 2023.03.06 |
올리브유 효능 11가지 (0) | 2023.02.28 |